충정공임형 3

임형(任衡)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조(始祖)

임형(任衡)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조(始祖) 임형(任衡,1360~1428년)은 고려 말 문신(文臣)으로 전주(全州) 출생이며 초명은 충(衝), 호(號)는 죽곡(竹谷), 諱는 형(衡), 시호(諡號)는 충정(忠貞), 본관(本貫)은 진주(晉州)이다. 고려조 말기 1385년에 음서(蔭敍)로 관직에 나갔다가 1389년(창왕1년) 문과(文科) 과거에 급제하여 이조정랑(吏曹正郞) 헌납(獻納)을 지내고 1392년(공양왕3년) 고려 멸망 후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이라며 벼슬을 그만 두고 경상도(慶尙道) 수양산(首陽山)에 은거(隱居) 생활을 하며 충절(忠節)을 지킨 인물(人物)로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조(始祖)이다. 어려서부터 배우기를 부지런하고 몸을 닦으며 충효입지(忠孝立志)하여 문충공(文忠公) 포은(圃隱) 정몽주(..

진주임씨(晋州任氏)의 유래와 역사

진주임씨(晋州任氏)의 유래와 역사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조는 풍천임씨(豊川任氏)와 같은 諱임온 (任溫)을 보계하고 諱온(溫)의 6세손(世孫)인 諱주(澍)가 고려 충렬왕(忠烈王) 때 경상도 안찰사(慶尙道按察使)를 거쳐 조봉대부(朝奉大夫)에 올라 감문위 대장군(監門衛大將軍)을 역임하였고 그의 아들 대(代)에 와서 백파(伯派:자송)와 중파(仲派:자손)로 크게 나뉘며 두 파(派)에서 고루 인물을 배출하여 가문(家門)을 중흥시켰다. 諱자송(子松)은 백이정(白以正)의 문인(門人)으로 조적(趙積)의난(亂) 때 공을 세워 정난공신(靖難功臣)에 올라 서하부원군(西下府院君)에 봉해졌고, 諱자순(子順)은 통헌대부(通憲大夫)로서 민부 전서(民部典書)를 지내고 개성 부사(開城府使)를 역임하였다. 諱자송(子松은 諱경유(景儒), ..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제(時祭)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제(時祭)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제(時祭)는 매년 한식(寒食)에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정여립로와 접해있는 9천여평의 진주임씨(晉州任氏) 종중산인 석산이 있다. 이곳엔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조(始祖)인 고려문하성헌납(高麗門下省獻納) 죽곡,충정공(竹谷,忠貞公) 임형(任衡)의 묘(墓)를 비롯하여 유도(有度), 수현(秀賢), 광좌(光左), 광우(光佑), 광필(光弼)의 5位 제단(祭壇)과 모재공(慕齋公) 경무(慶茂) 등 많은 선조(先祖)들이 모셔져 있다. 석산 입구에 진주임씨(晉州任氏) 시조(始祖)인 임형(任衡)을 배향하는 선모재(先慕齋)가 있다. 시제(時祭)란 한식(寒食) 또는 10월에 5대조 이상의 묘소(墓所)에서 지내는 제사를 관행적으로 일컫는 말로 한식(寒食) 또는 10월에 정기적으로 ..

카테고리 없음 2020.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