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임씨대종회 66

진주임씨역사연구원 소개

진주임씨역사연구원 소개 진주임씨역사연구원은 2009년 9월 10일 족보를 편찬하면서 진주임씨(晋州任氏) 사적을 제대로 발굴하고 연구검토하여 결과를 종원과 함께 나누고자 진주임씨역사연구원(晋州任氏歷史硏究院)을 설치하였습니다. 그동안 많은 업적을 거두었으며 앞으로도 해야 할 많은 과제들이 산적하여 종원의 관심과 참여가 매우 필요합니다. 진주임씨역사연구원에 동참할 뜻이 있으면 함께 공부한다는 자세로 도서관, 박물관 등에서 자료를 찾아서 현창(顯彰)하고 참여를 간절하게 바라고 있습니다. 문중이나 종원이 소장 중인 사적 자료를 주시면 선모재(先慕齎)에 사적자료실을 만들어 전시될 예정이며 기증자의 인적사항을 기록해서 영구히 보존하고 진주임씨대종회에 소개하고 번역 등으로 현대화하여 선조님의 묻혀진 위훈(偉勳)과 종사..

진주임씨(晋州任氏) 선조 지단 건립

진주임씨(晋州任氏) 선조 지단 건립 진주임씨대종회(회장 임헌두)는 전북 전주시 완산구 정여립로 488-9 진주임씨 시조(始祖) 재실인 선모재 후록에 진주임씨 비조인 진주군 諱 덕생 조(祖)와 비조(鼻祖)의 아드님이신 좌윤공 諱 을일 조(祖)의 지단을 건립하고 2023년 3월 25일에 제막식을 거행한다. 그동안 진주임씨 시조인 충정공(忠貞公) 諱 형(衡) 조(祖) 이하 선조들에 대해서 향사(享祀)를 해왔다. 진주임씨역사연구원(원장 임화영)에서 고려사, 고려사절요, 조선왕조실록 등 고려와 조선의 역사 문헌을 바탕으로 진주임씨 뿌리와 인물에 대해서 연구해 진주임씨의 비조께서 정2품 좌복야(左僕射)를 지내시며 공민왕 때 정치개혁의 공로로 국왕으로부터 晋州君으로 奉받으신 기록과 비조(鼻祖)의 아드님은 종3품 좌윤..

진주임씨 비조 및 좌윤공 지단 공사

진주임씨 비조 복야공 진주군 및 좌윤공 지단 공사 진주임씨대종회(회장 임헌두)의 주관으로 진주임씨 비조인 복야공 진주군 諱 덕생 조(祖)와 좌윤공 諱 을일 조(祖)의 지단 건립공사가 2023년 2월 4일(토)에 전주시 완산구 정여립로 선모재 후록 진주임씨 시조 諱 형 조(祖)의 묘소 위에서 진행되었다. 이날 공사 진행은 임헌두 대종회장과 임동호 총무이사가 맡아서 진주임씨 역사의 한페이지로 장식하였다. 비조이신 복야공의 지단은 시조 모소 위 정중앙에 위치하였고 좌측으로 좌윤공의 지단이 건립되었으며 지단 우측으로는 종친들의 헌성금을 기록한 봉헌비가 있으며 앞 양쪽으로 망주가 설치되었다. 또한 5위 제단 옆에 있던 진주임씨세천비는 선모재 앞으로 이전하여 명실공히 진주임씨 근본적인 뿌리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

진주임씨 시작과 진주임씨대종회의 역할

진주임씨 시작과 진주임씨대종회의 역할 진주임씨의 시작은 풍천임씨 8세에서 좌복야(左僕射)를 지내고 진주군(晋州君)으로 봉받은 諱 덕생(德生)으로부터 시작된다. 비록 세간에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복야공은 고려 때 사마시에 급제하여 상의봉어와 대사성을 거쳐 상도성(尙書省) 좌복야(左僕射)를 지내고 고려 공민왕 때에 국가에 발전에 공헌한 공적으로 진주군(晋州君)으로 봉해진 인물이다. 충숙왕 때 일등공신으로 서하군(西河君)에 올랐던 백파조(伯派祖) 諱 자송(子松)의 넷째 아들이며 감문위대장군을 지낸 諱 주(澍)의 손자, 상호군지낸 풍해군(豊海君) 諱 천유(天裕)가 조부이다. 고려시대 삼사소속의 종3품 좌윤(左尹)을 지낸 諱 을일(乙馹)의 부친, 조선 초기 이조정랑 헌납(獻納)을 지내시고 충신불사이군이라며 경상도 ..

전주덕진신협 이사장 임문옥(任文玉) 당선

전주덕진신협 이사장 임문옥(任文玉) 당선 전주덕진신협은 2022년 1월 28일 조합원 총회를 갖고 임문옥(任文玉) 감사를 조합원 만장일치로 이사장으로 선출했다. 조합원들의 한결같은 믿음과 사랑으로 성장한 전주덕진신협은 9천5백명의 조합원으로 본점을 비롯하여 2개의 지점망을 갖추고 영업점 네트워크를 통해 조합원과 지역민을 위한 금융서비스는 물론 차별화된 조합으로 다양한 사회공헌사업을 펼치고 있다. 임문옥(任文玉) 이사장은 1960年 전북 완주군 화산면 출신이다. 지방공무원으로 화산면사무소에서 30여년을 근무한 명필가(名筆家) 운장(雲莊) 諱 석운(錫雲)의 삼남(三男)으로 諱 중교(重敎)의 손자(孫子), 諱 헌표(憲杓)의 증손(曾孫), 諱 덕모(德模)의 고손(高孫), 諱 도황(道滉)의 현손(玄孫)이며 전주종..

성씨의 고향 진주임씨(晋州任氏)

성씨의 고향 진주임씨(晋州任氏) 사명당(四溟堂) 유정(惟政)을 아는 사람은 많지만 성(姓)이 풍천임씨(豐川任氏)라는 것을 아는 이는 그리 많지 않다. 특히, 진주임씨(晋州任氏)는 풍천임씨에서 분관(分貫)되어 진주임씨(晋州任氏)가 있다는 것이 세인(世人)에게 실제로 잘 알려지지 않았다. 진주임씨(晋州任氏)는 고려조에 익찬공신(翊贊功臣)의 호를 받고 첨의평리(僉議評理)와 충숙왕 때 일등공신으로 서하군(西河君)에 올랐던 임자송(任子松)의 넷째 아들인 임덕생(任德生)은 1334년 충혜왕(忠惠王) 1년에 사마시(司馬試)에 급제하고 충혜왕(忠惠王) 복위 3년에 정6품 상의봉어(尙衣奉御), 공민왕(恭愍王) 원년 성균관 으뜸벼슬인 정3품 대사성(大司成)을 거쳐 공민왕(恭愍王) 7년에 고려 때 행정기관의 최고기관으로 6..

진주임씨 임형(任衡)의 발자취 수양산(首陽山)

진주임씨 임형(任衡)의 발자취 수양산(首陽山) 수양산(首陽山)은 지리산과 연결된 경남 산청군 단성면에 있으며 필자의 처가(妻家)가 있는 산청 읍내에서 자동차로 약40분이 소요되는 해발 502.3m의 경관이 빼어난 산(山)이다. 이곳은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체취가 가장 많이 남아 있는 백운동 계곡이 있다. 조식(曺植) 선생은 조선 중기 남명학파를 창시한 유학자로 조정의 부름에도 불구하고 평생토록 벼슬길에 나서지 않고 지리 산록에 은거하며 많은 제자를 가르쳐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가장 많은 의병장을 배출한 큰 스승이기도 하다. 계곡을 입구에 음식점들을 지나면 용문동천임을 알리는 글자가 음각되어 있는 널찍한 암반 위로는 목욕을 하면 절로 아는 것이 생긴다는 다지소(多知沼)가 있다. 폭이 26m, 길이..

당숙(堂叔)과 종숙(從叔) 호칭(呼稱)에 대하여

당숙(堂叔)과 종숙(從叔) 호칭(呼稱)에 대하여 필자(筆者)가 1년 전에 언급했듯이 종친회(宗親會)에 참석해보면 항렬(行列)이 다른 일가친척(一家親戚)들을 만나게 되는데 호칭(呼稱)을 어떻게 써야 할지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 나이 어린 할아버지는 있어도 나이 어린 형님은 없다. 이는 친족 간에 나이가 어려도 할아버지뻘이 되는 수는 있어도 형님은 반드시 나이가 위여야 한다는 뜻이다. 조선 중기 이전까지의 문헌에서는 형제자매를 일컬어 동생이라 하고 형을 동생형(同生兄), 제(弟)를 동생제(同生弟)로 표기하였으며, 그 뒤부터는 형(兄), 제(弟) 또는 동생이라는 용어가 쓰이고 있다. 문중의 가장 흔한 관계는 나를 기준하여 아버지 항렬(行列) 관계가 있는데 아저씨, 당숙(堂叔), 종숙(從叔)으로 호칭을 사용하고..

임씨(任氏)의 본관(本貫)과 인구

임씨(任氏)의 본관(本貫)과 인구 우리나라의 임씨(任氏)는 지난 2015년 통계청 인구조사에서 풍천임씨(105,38명), 나주임씨(30,134), 장흥임씨(28,342), 곡성임씨(6,976명), 진주임씨(2,626명), 안동임씨(2,056명), 관산임씨(1,866명), 광산임씨(1,792명), 풍산임씨(1,469명), 함풍임씨(1,312명), 순천임씨(986명), 홍천임씨(882명), 파평임씨(850명), 과천임씨(812명), 보령임씨(778명), 수원임씨(712), 해남임씨(696명), 청풍임씨(612), 부천임씨(532명), 대전임씨(508명), 춘천임씨(482명), 충내임씨(388명), 회덕임씨(268명), 현도임씨(248명), 아선임씨(232명), 서하임씨(168명), 백천임씨(94), 평택임씨..

진주임씨(晋州任氏) 파(派)는 없다.

진주임씨(晋州任氏) 파(派)는 없다. 진주임씨(晋州任氏) 종인(宗人)은 이것은 꼭 알아야 하고 역사가 왜곡되어서도 아니 되기에 끝까지 읽어주시고 새겨야할 내용이다. 진주임씨(晋州任氏)는 1821년 도유(道孺) 조(祖)께서 족보를 창간하시면서 보서문에 진주임씨 종인들이 대부분 전북 익산, 고산, 전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데 고산지역 종인을 중심으로 단합을 제시하고 있다. 문제는 1959년 상중하로 발행된 족보(族譜)에서 갑자기 파가 등장하게 되는데 진주임씨(晋洲任氏) 12世孫 諱 광좌(光佐)는 익산파조(益山派祖). 諱 광우(光佑)는 고산파조(高山派祖). 諱 광필(光弼)은 전주파조(全州派祖). 15世孫 諱 진(進)은 관동파조(寬洞波祖), 17世孫 諱 동노(東老)는 김제파조(金堤派祖), 18世孫 諱 득망(得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