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씨(任氏)의 본관(本貫) 및 분관(分貫) - 장흥임씨,풍천임씨,진주임씨,곡성임씨
우리나라 임씨(任氏)는 文獻에 29개 본(本)이 전하나, 오늘날 계통이 자세히 전하는 본(本)으로는 장흥(長興), 풍천(豊川), 진주(晉州), 곡성(谷城), 아선(牙善), 회덕(懷德), 과천(果川), 함풍(咸豊), 관산(冠山) 등이 있지만 임씨(任氏)는 한 始祖에서 分貫되어 本貫을 이루고 있다. 장흥임씨(長興任氏)와 풍천임씨(豊川任氏), 진주임씨(晉州任氏), 곡성임씨(谷城任氏) 등 임씨(任氏)들은 대외적인 기록으로는 시조(始祖)를 다르게 모시고 있으나 상호간에 같은 조상의 子孫이라며 사실상 結婚도 하지 않고 있다. 그 근거를 밝히기 위하여 풍천임씨감찰공파세보(豊川任氏監察公派世譜), 장흥임(長興任) 고내가승보(庫內家乘譜), 진주임씨족보(晉州任氏族譜), 진주임씨세보(晉州任氏世譜) 기록과 문헌 등을 참고하여 소개(紹介)한다.
장흥임(長興任)씨는 중국 송나라 소흥부(紹興府) 출신의 상서공부원외랑(尙書工部員外郞) 임호(任顥)를 시조로 하고 풍천임(豊川任)씨는 중국 소흥부(紹興府) 자계현(慈溪縣) 사람으로, 중국 원나라 때 고려로 왔다고 전해지는 온(溫)을 시조로 한다. 진주임(晉州任)씨는 고려말엽 헌납(獻納)을 지낸 임형(任衡)을 시조로 하고 곡성임(谷城任)씨는 고려 중현대부군기시윤(中顯大夫軍器寺尹)을 지낸 임천록(任天祿)을 시조로 하며 아선임(牙善任)씨는 예빈시소경을 지낸 임용비(任龍臂), 회덕임(懷德任)씨는 별장을 지낸 임수성(任守城), 과천임(果川任)씨는 사재사부령(司宰寺副令)을 지낸 임경종(任敬宗), 관산임(冠山任)씨는 조선 말엽 의병이며 독립운동가인 임정현(任淨鉉)을 시조로 삼고있다.
1979년에 발행된 풍천임씨감찰공파세보(豊川任氏監察公派世譜)와 2009년에 발행된 진주임씨(晉州任氏) 족보(族譜)에 따르면 상계(上系)를 시조 임온(任溫)-임가규(任可珪) - 임비(任備) - 임도(任徒) - 임천유(任天裕) - 임주(任澍) - 임자송(任子松)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6세조인 어사공(御使公) 임주(任澍)의 면주에서는 병인해주보(丙寅海州譜)에 이르기를 어사공(御使公)께서 비로소 동국(東國:고려)으로 오시어 풍천(豊川)으로 본적을 두시고 송경 창선방(松京 昌善坊)에 거처를 두시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노국공주(魯國公主)를 모시고 왔다. 송(宋)의 조신(朝臣)으로 나라가 망하여 왔다. 라고 기록되어 있으며 풍천임씨죽애공파(豊川任氏竹崖公派)후손인 임선재(任善宰)가 쓴 풍천사적소명록(豊川史跡疎明錄)에서는 풍천임씨(豊川任氏) 구보서문(舊譜序文)에 6세조인 어사공(御使公) 임주(任澍 :1250~1300년)이 처음으로 동국(고려)에 와서 풍천(豊川) 이라 본관을 정하고 개성의 창선방에 거처를 정했으며 노국공주를 모시고 왔다라고 기록되어있다.
장흥임씨(長興任氏) 고내가승보(庫內家乘譜)와 풍천군(豊川君) 원준(元濬)의 장자가 온(溫)이 풍천임씨 시조이고 차자가 윤(潤)이라는 기록이 있다. 고려사에 나오는 6세조 어사공(御使公) 임주 (任澍)와의 연대를 측정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세계도가 작성된다. 풍천임씨(豊川任氏)와 진주임씨(晉州任氏), 곡성임씨(谷城任氏)는 시조를 임온(任溫)으로 (1세-溫), (2세-可珪), (3세-備), (4세-徒), (5세-天裕), (6세-澍)로 1130년부터 1283년까지 이르며 장흥임씨(長興任氏)의 경우 시조를 호(顥)로 삼고 (1세-顥), (2세-懿), (3세-元濬) (4세-溫), (5세-可珪), (6세-備), (7세-徒), (8세-天裕), (9세-澍)로 1041년부터 1283년까지 이른다. 장흥임씨(長興任氏)는 풍천임씨(豊川任氏)와 진주임씨(晉州任氏), 곡성임씨(谷城任氏)의 시조 보다 위로 3世가 더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장흥임씨(長興任氏) 대동보(大同譜)에 의하면 豐川任氏 始祖인 온(溫)은 장흥임씨(長興任氏)의 3세조인 원준(元濬)을 기준으로 할 때는 온(溫)이 장자이고 윤(潤)이 차자로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 보면 온(溫)은 중국인이 아니며 장흥임씨(長興任氏)가 종가(宗家)가 되고 장흥임씨(長興任氏)에서 분관(分貫)되었다는 논리가 성립된다. 오랜 역사가 있었지만 정확한 문헌들이 없고 각 본(本)에 전해 내려오는 族譜, 大同譜, 世譜 등에 기록된 내용을 확인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29개에 이르는 임씨(任氏)는 장흥임씨(長興任氏)가 1세로하는 호(顥)와 풍천임씨(豊川任氏), 진주임씨(晉州任氏), 곡성임씨(谷城任氏)가 1세로하는 온(溫)이나 각 分貫된 임씨(任氏)는 같은 血族임은 分明하다.
晉州任氏 29世孫 任和永 TEL:010-4723-6100
'晋州任氏(진주임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주임씨(晋州任氏) 로고(Logo) (0) | 2020.10.04 |
---|---|
진주임씨(晉州任氏) 역사(歷史)와 후손(後孫) (0) | 2020.10.04 |
임씨(任氏)의 본관(本貫)과 시조(始祖) (0) | 2020.09.22 |
진주임씨(晉州任氏) 인물(人物) (0) | 2020.09.15 |
진주임씨(晉州任林) 족보(族譜) (0) | 2020.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