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씨(任氏) 본관(本貫)의 역사(歷史)
우리가 생활을 하면서 임씨(任氏) 성(姓)을 가진 분들을 만나면 관향(貫鄕)을 떠나서 우선 반갑고 같은 종인으로 친밀감을 갖게 되고 시조를 다르게 모시고 있으나, 대내적으로는 상호간에 같은 조상의 자손이라고 인정하여 서로 종씨라고 부르고 있으며, 결혼도 하지 않고 있다. 종인들 간에 종가(宗家)는 어디이고 분관의 기점이 어디인가 이해를 돕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소견을 밝힌다.
1. 임씨(任氏)의 원조(元祖) (한국의 귀화성씨 참조)
1) 황제(黃帝 軒轅)의 아들 우양(禹陽)이 임성(任城) 제후가 된 뒤 시조가 됨
2) 복희씨(伏羲氏) 자손 풍(風)씨가 임국(任國) 제후가 된 뒤 임(任)씨가 됨
2. 삼국시대 임씨(任氏) 성(姓)의 인물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참조)
1) 임무(任武) : 생몰년 미상. 고구려의 왕족, 보장왕의 둘째 아들이다.관직은 막리지
2) 임자(任子) : 생몰년 미상. 백제 의자왕 때 대신. 관직은 좌평.
3) 임영리(任永里) : 생몰년 미상. 신라 진평왕 때 관료. 관등은 이찬.
3. 장흥임씨 상계 가계
1) 始祖:호(顥) - 2세:의(懿) - 3세:원숙 – 4세:영첨 – 5세:효성 – 6세:영부 – 7세:구
..................................................3세:원후 – 4세: 유 – 5세:경숙 – 6세: 찬 - 7세:홍헌
..................................................3세:원준 – 4세:온(溫)- 5세:군보
.....................................................................4세:윤(潤)- 5세:정보 – 6세:방부 – 7세:보
※ 위 가계도 원준선조의 아들형제는 1803 계해 고내가승보 참조
※ 장흥임씨 족보상 - 3세 원준 - 윤 - 정보 - 방부 - 보 - 약 으로 이어짐)
2) 풍천임씨 상계 가계 검토
始祖:임온(任溫) - 2세:가규 – 3세:비 – 4세:도 – 5세:천유 – 6세:주 – 7세:자송
....................................................................................................................7세:자순
※ 경상도관찰사 선생안에 시조 諱온(溫)이 송(宋) 수창(壽昌) 19년 을유에 사록(司祿)이 되 시다. 에서 ‘송수창 19년 을유’는 1105년(고려 숙종 10년) 해당되는 해이며 6세 諱주 (澍.어사공)의 계미(癸未) 추동등 안찰사 재임기록의 년도를 1283년 (고려 충렬왕 9년) 으로 보고 있다.
3) 위 임온(任溫) 및 임주(任澍)선조 간의 년도를 계산하면,
- 1105(년) + 180(년)(30년×6세=180년) = 1285년
- 1283(년) - 1285(년) = - 2(년)
※ 장흥임씨에서 풍천임씨가 분적했을 경우 상계 가계 년도계산
4) 2세조 정경공 諱의(懿)의 출생년도인 1041년을 기준하면,
- 1041(년) + 240(년) (30년×8세=240년) = 1281년
- 1283(년) - 1281(년) = + 2(년)
※ 위의 년도계산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풍천임씨 시조 諱온(溫)과 6세인 諱주(澍)의 관직 년대(1283)를 대비하면 - 2(년)이 된다.
4. 장흥임씨 3세 諱원준(元濬.문헌공.풍천군)의 장자인 諱온(溫)으로부터 분적 되었다고 가정하 면, 장흥임씨 2세 諱의(懿)의 출생년도와 풍천임씨 6세(장흥임씨 기준 9세)인 諱주(澍)의 관직연대(1283)을 대비하면 +2(년)이 되므로, 년도계산 상으로는 -2년, 또는 +2년이 되어 동일 세대로 보아도 무리는 없을 것 같다.
5. 자료 검토 및 분석
1) 임씨 성은 중국 황제 헌원의 8자 우양 및 복희씨의 자손 풍이 원조(元祖)가 되고 삼국 시대에도 임씨 성의 인물들이 나오는 것으로 보아 오랜 전통을 가진 성씨(姓氏)라고 판 단된다. 장흥임씨의 경우 중국 절강성 소흥부에서 임호(任顥)가 고려 때(1035-1046) 장흥 임씨도에 기착하였다고 전하고 있으며, 풍천임씨의 경우는 중국 절강성 소흥부 자 계현사람 임온(任溫)이 1277년 충렬왕비 제국공주를 배종해와 풍천에 정착했다고 하는 데, 다 같이 중국 소흥에서 왔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같은 중국임씨의 같은 계통에서 우리 나라에 온 것으로 추정된다.(한국의 귀화성씨 참조)
2) 풍천임씨의 시조로부터 이하 5세의 관직이 은자광록대부, 제술업 진사, 봉어, 검교, 삼 한공신이라고 전하고 있어 고려 관직에 관계되는 것으로, 어사공 이전부터 풍천임씨 선조가 우리나라에 거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6. 결론
임씨(任氏)의 시조는 중국 소흥부 사람이라고 명시하고 있어 같은 집안으로 추론이 되며 곡성임씨는 풍천임씨 4세 諱도(徒)의 차남 諱천록(天祿)을, 진주임씨는 7세 諱자송(子松)의 4남 진주군(晋州君) 諱덕생(德生)의 손자 諱형(衡)을 시조로 모시고 있다. 특히, 풍천임씨 선조는 고려 후기에 사료상으로 나오고 있어 장흥임씨가 먼저 동래한 것으로 추론 된다. 가정이지만, 諱원준(元濬)의 장자가 諱온(溫)이고, 차자가 諱윤(潤)이라고 볼 때, 諱원준(元 濬) 가계만을 놓고 보면 장자가 諱온(溫)이므로 장흥임씨가 종가(宗家)된다는 결론이다, 諱원준(元濬)의 장자 諱온(溫)이 풍천임씨, 진주임씨, 곡성임씨가 모시고 있는 시조인지 적극적으로 연구하여 고증이 되길 기원하는 바이다.
참고문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임씨세덕록, 한국의 귀화성씨, 장흥임씨뿌리교육교재,
장흥임씨 상계도, 풍천임씨 세보, 진주임씨 세보.
'晋州任氏(진주임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주임씨(晋州任氏) 시조(始祖) 임형(任衡)의 묘갈명(墓碣銘) (0) | 2021.01.14 |
---|---|
임동순(任東淳) - 진주임씨(晋州任氏) 30世 (0) | 2021.01.05 |
천곡서원(泉谷書院)의 문서(文書)와 자료(資料) (0) | 2021.01.02 |
임주영(任柱永) - 진주임씨(晋州任氏) 29世 (0) | 2020.12.31 |
임덕생(任德生) 진주임씨(晉州任氏) 비조(鼻祖) (0) | 2020.12.30 |